갱년기

갱년기 증후군
갱년기란 내분비학적인 관점에서 여성 호르몬이 부족해져 나타나는 증상으로 규정됩니다. 하지만 한의학적 오장육부 관점에서는 간의 혈이 부족하고 신장의 진음(眞陰)이 부족해지면서 나타나는 여성의 변화 과정으로 보고 있습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정(정수)과 혈(혈액)이 부족해지거나 고갈되어 인체의 장기가 원활히 기능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갱년기 증상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갱년기 여성을 크게 신허(선천성 허약형), 간기울결(정신긴장성), 심비양허(후천적 장기부족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나눕니다. 이 중에서도 신허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갱년기 질환에 대해 한방에서는 노화로 인한 전신 기능저하 회복을 도모합니다. 진액을 보충해 심화를 내려주는 한편 간혈을 보해 혈액순환 개선을 돕습니다. 또한 울혈증상을 없애기 위해 혈액을 깨끗하게 하는 정혈제를 비롯해 신경증상을 없애고 기의 순환을 돕는 한약, 심신을 조화시키고 중추에 도움을 주는 한약 등을 증상과 체질에 따라 적절히 처방해 치료 효과를 높입니다. 특히 한방치료를 통한 갱년기 관리는 부작용 걱정 없이 단기간에 증상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게 강점입니다.